CPC(Cost Per Click)에서 CPM(Cost Per Mille)으로 변경되는 구글 애드센스 수익 공유 구조 업데이트에 대한 내용과 CPM 전환 이유에 대해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마케팅 용어 CPC와 CPM 의미
아래는 자주 쓰이는 온라인 마케팅 용어이며 애드센스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두 단어의 간략한 의미입니다.
- CPC (Cost Per Click): 광고를 클릭하면 광고주가 지불하는 금액.
- CPM (Cost Per Mille): 광고가 1,000회 노출될 때 광고주가 지불하는 금액으로 노출된 광고에 대한 수익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지 않아도 발생.
구글 애드센스 CPM으로 변경 이유

- 광고주 ▸ 구글 Ads 또는 타사 플랫폼 ▸ 구글 애드센스 ▸ 퍼블리셔(블로거)
- 애드센스 수익 공유 구조: CPC에서 CPM으로 변경
아래 링크는 Google AdSense 공식 블로그의 애드센스 수익 공유 구조 업데이트에 대한 내용 원문입니다.
https://blog.google/products/adsense/evolving-how-publishers-monetize-with-adsense/
법률상 2024년 9월부터 제3자 쿠키 완전 차단으로 무효 클릭 판별 여부를 잡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게 되고, CPC보다는 CPM으로 전환하는 것이 광고주에게 이익이 크기 때문에 애드센스 수익 창출 구조를 변경한다고 합니다.
구글에서 광고 테스트 결과 퍼블리셔의 수익 변화는 예전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